프레임워크
프레임워크란,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기본 구조나 뼈대를 제공하는 도구나 환경입니다. 프레임워크는 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필요한 공통된 기능이나 구조를 제공하여 개발자가 이를 활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프레임워크 주요 특징
구조와 규칙: 프레임워크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구조와 규칙을 제공합니다. 개발자는 이 구조와 규칙을 따라야 하며, 이를 통해 일관된 코드 작성과 유지보수가 가능해집니다.
재사용성: 프레임워크는 재사용 가능한 코드와 라이브러리를 포함하고 있어, 개발자는 이를 활용하여 개발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추상화: 프레임워크는 공통된 작업을 추상화하여 개발자가 세부 구현 사항에 신경 쓰지 않고 핵심 로직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확장성: 프레임워크는 확장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개발자는 애플리케이션의 요구 사항에 맞게 필요한 기능을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프레임워크를 사용함으로써 초보 개발자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개발 생산성 향상: 프레임워크는 개발자가 반복적이고 일반적인 작업을 최소화하여 개발 생산성을 향상시킵니다. 예를 들어, 웹 개발에서는 프레임워크가 HTTP 요청 처리, 보안/인증 설정, 응답 처리 등을 자동으로 처리하여 개발자가 이에 대한 구현에 시간을 쓰지 않아도 됩니다.
커뮤니티 및 생태계: 대부분의 프레임워크는 활발한 커뮤니티와 생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개발자들이 서로 의견을 공유하고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장점이 됩니다.
품질 및 안정성 향상: 프레임워크는 테스트된 코드와 보안 패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개발자가 안정적이고 품질 좋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프레임워크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각 분야마다 다양한 프레임워크가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웹 개발에서는 Django, Ruby on Rails, Laravel 등의 프레임워크가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프레임워크가 개발자와 운영자, 일반 사용자 입장에서 필요한 이유
1) 생산성 향상
프레임워크는 이미 구축된 기반 코드와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 라이브러리를 제공하여 개발자가 처음부터 모든 것을 새롭게 개발하는 번거로움을 줄여줍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더욱 빠르게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으며, 개발 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2) 표준화와 일관성
프레임워크는 일정한 구조와 설계 원칙을 제시하므로, 개발자들이 동일한 패턴과 규칙을 따르게 됩니다. 이는 애플리케이션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만들어줍니다. 또한, 프레임워크는 표준화된 방식으로 작업하기 때문에 다른 개발자들과의 협업이 용이해지고 코드의 가독성도 향상됩니다.
3) 확장성과 유연성
프레임워크는 확장 가능한 아키텍처를 가지고 있어, 애플리케이션의 규모가 커져도 확장이 용이합니다. 또한, 프레임워크는 다양한 플러그인, 모듈, 확장 기능을 제공하여 개발자가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기능을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4) 안정성과 보안성
프레임워크는 많은 테스트와 검증을 거쳐 출시되기 때문에 안정성과 신뢰성이 높습니다. 또한, 보안 취약점에 대한 대응책이 내장되어 있어 개발자가 별도로 보안에 대한 고민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5) 커뮤니티와 생태계
대부분의 프레임워크는 활발한 개발자 커뮤니티와 생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과 지원을 제공해주며, 개발자들끼리 지식을 공유하고 협력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합니다.
한국에서 많이 사용하는 자바기반 프레임워크
1) 스프링 프레임워크(Spring Framework)
스프링은 가장 인기 있는 자바 기반 상용 프레임워크 중 하나입니다. 스프링은 경량화되어 있으며, POJO(Plain Old Java Object) 기반으로 개발을 할 수 있어 개발자들이 접근하기 쉽습니다. 스프링은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과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Aspect-Oriented Programming, AOP)을 지원하여 개발자들이 애플리케이션의 구조를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스프링은 다양한 기능과 모듈을 제공하며, XML 설정이나 어노테이션을 통해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효율적인 개발이 가능합니다. 또한, 스프링은 다양한 레퍼런스와 커뮤니티가 활발하게 운영되어 개발자들 사이에서 많은 지지를 받고 있습니다.
2) 마이바티스(MyBatis)
마이바티스는 SQL 매핑을 지원하는 프레임워크로, 개발자가 직접 SQL 문장을 작성하고 XML 파일로 분리하여 저장하며, 이를 자바 코드와 연결해주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마이바티스는 SQL 작성에 자유로움을 제공하면서도 객체 지향적인 접근 방식을 유지할 수 있어 많은 개발자들에게 인기가 있습니다. 또한, 마이바티스는 자체적으로 다양한 기능과 유연성을 제공하며, 대용량 데이터 처리와 성능 최적화에 용이합니다.
이외에도 한국에서는 Hibernate, Apache Struts 등의 프레임워크도 상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각각의 프레임워크는 특징과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프로젝트의 요구사항과 개발자의 선호도에 따라 선택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프레임워크를 선택할 때는 프로젝트의 규모, 복잡도, 유지보수성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프레임워크를 사용해야 합니다.
스프링이나 마이바티스는 오픈소스로, 보통 기업 시스템을 구축할 땐 SI 자체 프레임워크나 상용 프레임워크 제품을 사용한다. 상용 제품의 경우 보통 spring을 커스터마이징 한 제품이 많다.
전자정부 프레임워크와 스프링의 주요 차이점
전자정부 프레임워크
전자정부 프레임워크는 한국 정부 기관들의 전산 시스템 구축을 위해 개발된 프레임워크입니다. 공공 기관의 특수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표준화와 재사용성을 강조합니다.
- 표준화 : 전자정부 프레임워크는 한국 정부에서 표준화된 방식으로 개발된 프레임워크로, 공공 기관 간의 시스템 개발 시 일관성과 효율성을 제공합니다.
- 보안성 : 정부 기관에서 많은 개인 정보를 다루기 때문에, 전자정부 프레임워크는 보안성을 강화한 기능을 제공하여 안전한 시스템 구축을 지원합니다.
- 공통 기능 제공 : 전자정부 프레임워크는 공통 기능을 모듈화하여 제공하므로, 다른 정부 시스템 간의 통합이 용이하고 개발자는 중복 개발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스프링 프레임워크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엔터프라이즈급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로,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 경량성 :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경량 컨테이너를 제공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부담을 줄이고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 의존성 주입(DI) : 스프링은 의존성 주입을 통해 강한 결합을 피하고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테스트 가능하고 확장 가능한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AOP) : 스프링은 AOP를 지원하여 핵심 비즈니스 로직과 부가적인 관심사(로깅, 보안 등)를 분리하여 모듈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자정부 프레임워크는 한국 정부의 표준화된 개발 방식과 보안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 데 특화되어 있으며,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유연성과 확장 가능성을 강조하는 엔터프라이즈급 프레임워크입니다. 개발자는 프로젝트의 요구 사항과 환경에 따라 적합한 프레임워크를 선택하여 개발할 수 있습니다.
끝.
'프레임워크 > SPRING 스프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 04-03. 예외처리를 활용한 서비스 로직 리팩터링_01 (0) | 2023.02.26 |
---|---|
SPRING @Transactional : 그냥 db처리시 필수 (0) | 2023.02.21 |
spring data exceptionResolver 오류 : 데이터와 비즈니스 validation 설정 (0) | 2023.02.14 |
postman 오류 : Desktop Agent unavailable (0) | 2023.02.13 |
IntelliJ HTTP Clinet plugin은 돈 내야(Ultimate) 쓸 수 있어요. (0) | 2023.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