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클라우드

(11)
컨테이너 기술의 발전과 minikube 기본 명령어 본 포스팅 범위 컨테이너 기술의 발전, 배포 방식 변화( 전통적-가상화-컨테이너 배포) 도커와 쿠버네티스, 그리고 실습 위한 설치 프로그램(Docker for Desktop, kubectl, kustomize, minikube) 그리고 minikube 기본 명령어 컨테이너 기술의 발전, 배포 방식 변화 요즘 IT 최신기술은 컨테이너 기술이다. 서비스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운영할 것인가의 물음에서 시작해 컴퓨팅 자원의 효율성 측면에서 가상머신, 가상화 기술이 나왔다. 1) 애플리케이션을 물리 서버에서 실행하는 전통적 배포 방식. 물리 서버 하나에서 여러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리소스를 과다 사용하는 인스턴스가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에 영향을 준다. 2) 가상화 배포. 단일 물리 서버의 CPU에서 여러 가상 시..
클라우드 전환 가속화하는 ROSA, 온프레미스 유지 애플리케이션_RedHat Summit Connect 2022 후기 2 Redhat Summit Connect 2022 세미나를 다녀왔다. 현재는 글로벌 경기침체가 예상되는 시기이면서, 많은 기업들이 클라우드로 전환하는 시기이다. 클라우드를 관통하는 메인 주최사 Redhat 이기에 내로라하는 클라우드 관련 기업들과 최신 현황에 대해 알 수 있었다. 별 기대하지 않고 참석한 세미나이지만 클라우드 신생아였던 나에겐 많은 인풋이 되어 장기기억화하기 위해 세미나를 들으며 남긴 기록들을 짧게나마 포스팅한다. [ 후기2 포스팅 범위 ] AWS ROSA(Red Hat OpenShift Service on AWS), 온프레미스 유지 애플리케이션 특징, ROSA 특징과 구성, 그리고 비용 클라우드 전환 가속화하는 AWS와 Red Hat 협업 "ROSA" - AWS 솔루션 아키텍트 전 세계적..
최근 OpenShft 이용사례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ARO 등_RedHat Summit Connect 2022 후기 1 Redhat Summit Connect 2022 세미나를 다녀왔다. 현재는 글로벌 경기침체가 예상되는 시기이면서, 많은 기업들이 클라우드로 전환하는 시기이다. 클라우드를 관통하는 메인 주최사 Redhat 이기에 내로라하는 클라우드 관련 기업들과 최신 현황에 대해 알 수 있었다. 별 기대하지 않고 참석한 세미나이지만 클라우드 신생아였던 나에겐 많은 인풋이 되어 장기기억화하기 위해 세미나를 들으며 남긴 기록들을 짧게나마 포스팅한다. [ 후기1 포스팅 범위 ] OpenShift 이용 사례(롯데카드, 한국지역정보개발원, 통계청, KT Cloud),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ARO(Azure RedHat Openshift) , SRE(Site Reliability Engineer) Keynote Session : ..
AWS 8 : Route 53(DNS), Lambda, 컨테이너서비스(ECS, EKS, Fargate) 여덟번째 AWS 포스팅 범위 Amazon Route 53(AWS DNS서비스), AWS Lambda(이벤트 자동실행 서버리스 서비스), AWS 컨테이너 서비스(ECS, EKS, Fargate) AWS 관련 가장 쉬운 책을 읽고 나중에 찾아볼 주요 용어들을 정리해 둡니다. "그림으로 이해하는 AWS 구조와 기술(오가사와라 시게타카 지음)" 을 읽고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용어들을 정리합니다. 얇은 책이지만 모르는 용어가 많은 만큼 포스팅 양이 많아 몇 번에 걸쳐 업로드 예정입니다. Amazon Route 53(AWS DNS서비스) Amazon Route 53은 DNS(Domain Name System)으로 운영중 EC2나 S3와 같은 서비스의 엔트포인트(연결점)와 접속할 IP 주소를 연결하며 이를 이름풀이(n..
AWS 7 :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Amazon RDS 일곱번째 AWS 포스팅 범위 데이터베이스와 RDB, Amazon RDS, RDS에서 사용가능한 DBMS, RDS 사용 절차, 키밸류 데이터베이스 AWS 관련 가장 쉬운 책을 읽고 나중에 찾아볼 주요 용어들을 정리해 둡니다. "그림으로 이해하는 AWS 구조와 기술(오가사와라 시게타카 지음)" 을 읽고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용어들을 정리합니다. 얇은 책이지만 모르는 용어가 많은 만큼 포스팅 양이 많아 몇 번에 걸쳐 업로드 예정입니다. 데이터베이스와 RDB 데이터베이스란 구조적으로 정리된 데이터의 집합체로 실제 데이터를 조작하는 것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이다.데이터베이스와 DBMS를 통틀어 '데이터베이스'라고 하며 일부 기능이나 속도, 안전성, ..
AWS 6 : 가상 네트워크 서비스 Amazon VPC, 게이트웨이와 엔드포인트 여섯번째 AWS 포스팅 범위 Amazon VPC(가상 네트워크), 기본 VPC, 서브넷과 DHCP, 인터넷 게이트웨이와 NAT 게이트웨이, 보안 그룹과 네트워크 ACL, VPC 엔드포인트, VPC 연결 AWS 관련 가장 쉬운 책을 읽고 나중에 찾아볼 주요 용어들을 정리해 둡니다. "그림으로 이해하는 AWS 구조와 기술(오가사와라 시게타카 지음)" 을 읽고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용어들을 정리합니다. 얇은 책이지만 모르는 용어가 많은 만큼 포스팅 양이 많아 몇 번에 걸쳐 업로드 예정입니다. Amazon VPC(가상 네트워크) Amazon VPC(Amazon Virtual Private Cloud, 이하 VPC)란 AWS가 제공하는 AWS 계정 전용 가상 네트워크로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사용 된다. 네트워..
AWS 5 : 스토리지 서비스 S3, 객체와 버킷 등 다섯번째 AWS 포스팅 범위 Amazon S3(이하 S3), 스토리지 클래스, S3 사용 절차, 객체와 버킷, 버킷 정책과 사용자 정책(액세스 제한 설정), 웹 사이트 호스팅, 파일 업로드/다운로드, 액세스 로그/관리, 버전관리/수명주기정책/교차리전복제, 데이터 분석, Amazon CloudFront(콘텐츠 배포 서비스) AWS 관련 가장 쉬운 책을 읽고 나중에 찾아볼 주요 용어들을 정리해 둡니다. "그림으로 이해하는 AWS 구조와 기술(오가사와라 시게타카 지음)" 을 읽고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용어들을 정리합니다. 얇은 책이지만 모르는 용어가 많은 만큼 포스팅 양이 많아 몇 번에 걸쳐 업로드 예정입니다. Amazon S3(이하 S3) Amazon S3(Simple Storage Service)는 스마트한..
AWS 4 : 서버 서비스, Amazon EC2와 인스턴스, EBS 그리고 요금 네번째 포스팅 범위 Amazon EC2(가상서버), EC2 사용절차, 인스턴스 요금, AMI(디스크 이미지), 인스턴스 유형, Amazon EBS(EC2 스토리지 볼륨), 접근관리(SSH, 키페어), Elastic IP주소(고정 공인 IP), Elastic Load Balancing(트래픽 분배 분산장치), 스냅샷, 오토 스케일링 AWS 관련 가장 쉬운 책을 읽고 나중에 찾아볼 주요 용어들을 정리해 둡니다. "그림으로 이해하는 AWS 구조와 기술(오가사와라 시게타카 지음)" 을 읽고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용어들을 정리합니다. 얇은 책이지만 모르는 용어가 많은 만큼 포스팅 양이 많아 몇 번에 걸쳐 업로드 예정입니다. Amazon EC2(가상서버) Amazon Elastic Compute Cloud(Amazo..

728x90